본문 바로가기
보건

동물보건사가 알아야 할 지식-동물병원에서 많이 사용하는 3가지 혈액튜브

by 묭냥이 2025. 1. 3.

동물병원에서 사용하는 혈액TUBE는 주로 혈액의 성분을 분석하거나 다른 검사들을 위한 샘플을 채취할 때 사용됩니다. 아래에서 설명될 TUBE는 각기 다른 목적에 맞게 특수한 첨가제가 들어있어, 혈액을 처리하거나 분석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합니다. 동물병원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혈액 TUBE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헤파린튜브(Heparin Tube)

헤파린 튜브(초록색)는 항응고제(Heparin)가 들어있는 튜브로, 혈액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헤파린은 혈액 내의 트롬빈(Thrombin)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혈액 내의 세포나 다른 성분들이 변형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죠! 주로 혈액가스 분석, 혈액 화학분석에 사용됩니다.

 

헤파린 튜브로 혈액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검사해야 하는 것이 혈액가스입니다. 그 다음 원심분리기를 통해 원심을 돌린 후 혈액 화학분석에 사용되죠. 혈액가스 검사는 원심을 돌리지 않은 빨간색 혈액(전혈)으로 검사하게 됩니다. 헤파린 튜브로 원심을 돌리게 되는 경우, 혈장이 나오게 되면 혈액 가스 검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혈액 가스 검사를 먼저하고 결과가 나온 후에 원심을 돌리게 됩니다.

*순서 : 혈액가스검사(전혈) →혈액화학검사(혈장)

*혈액검사 전에 혈액가스검사가 있는지 없는지 수의사 확인 후에 원심을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EDTA튜브(EDTA Tube)

EDTA 튜브(보라색)는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가 들어있는 튜브로, 혈액 내의 칼슘 이온과 결합해 응고를 방지하고, 혈액 세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EDTA는 혈구분석, 혈액형 검사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EDTA  튜브로 혈액을 받았을 때는 혈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을 너무 적게 넣거나 많이 넣으면 혈액과 항응고제의 비율이 맞지 않아서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혈액이 많은 경우, 혈액응고제의 양이 부족해서 혈액이 응고될 수 있으며, 혈액이 적은 경우, 혈액응고제의 과잉으로 혈구의 모양과 크기를 변형시켜 용혈될 수 있습니다. 

*EDTA 튜브에는 tube크기에 맞는 적정한 혈액의 양을 넣고, 검사 전에 8자 모양으로 부드럽게 혈액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도록 혼합해줘야 합니다.

 

SST 튜브(Serum Separator Tube)

SST 튜브(노란색)는 응고를 유도하는 활성화제가 포함되어 있어 혈액을 빠르게 응고시키고, 젤이 들어있어 응고된 후 세포와 혈청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즉, 혈청 분리 튜브입니다. 주로 혈청 검사, 호르몬검사의 혈액 분석에 사용됩니다.

 

SST 튜브로 혈액을 받았을 때는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혈액 롤링기 위에 두는 것이 아닌 10분-15분정도 가만히 두어야 합니다. 그 후에 원심기로 원심을 돌리면 혈청을 얻을 수 있습니다. 혈액화학검사 tT4의 경우 혈청으로 검사하기도 합니다.

*SST 튜브와 혈청을 얻는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다른 Plane 튜브(빨간색)는 항응고제와 젤이 포함되지 않은 튜브입니다.

 

마무리

각각의 혈액 튜브는 특정 검사 목적에 맞게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헤파린 튜브는 응고방지, EDTA 튜브는 혈구분석, SST 튜브는 혈청을 얻기 위해 사용되며, 그 외에도 다양한 특수 목적의 튜브가 존재합니다.

동물보건사로서 자주 사용되는 튜브의 용도와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튜브를 선택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12.22 - [보건] - 동물보건사가 알아야 할 지식-딥퀵염색 준비물 및 방법

 

동물보건사가 알아야 할 지식-딥퀵염색 준비물 및 방법

딥퀵이란퀵엽색(Deep Quick Stain)은 주로 동물병원에서 세포나 조직 샘플을 염색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세포 내 및 외부 구조를 빠르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미생물학

serena-dba.tistory.com